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더리움,ETH,암호화폐,공정가치,TVS,TVL,Sharplink Gaming,스테이블코인,RWA,리빙엔월가

이더리움 로고를 중심으로 자산들이 보호되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TVS 개념 일러스트

왜 중요한가

2025년 8월 기준, 이더리움(ETH)의 ‘공정가치’를 단순 가격 모멘텀이 아니라 네트워크가 보호(보증)하는 자산 총량으로 보려는 시도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총가치보호(TVS, Total Value Secured)는 ETH가 보안·합의로 지탱하는 생태계의 크기를 정량화하여, 장기 ‘바닥 가치’ 추정의 기준점이 될 수 있습니다.

핵심 포인트

  • TVL vs TVS: TVL은 디파이 예치금에 국한되지만, TVS는 스테이킹·브리지(L2 포함)·스테이블코인·RWA·디파이 포지션 등 ETH 보안에 의존하는 전체 자산을 포괄.
  • 평가 프레임: “ETH 시가총액 : TVS” 비율을 바닥가치 가늠자처럼 사용. 보수적으로는 1:1을 기본선으로 보는 시각이 존재.
  • 성장 동력: 스테이블코인, RWA(실물자산 토큰화), L2 거래 활동 확대 → 모두 최종적으로 L1 보안(ETH)에 귀속.
  • 전망 수치: 스테이블코인 2028년 약 1.2조 달러 베이스 케이스(낙관 시 2조 달러 시나리오도 거론). RWA는 2030년 수조~수십조 달러 범위 전망.
  • 리스크: 경쟁 체인 점유율 변화, L2 경제성, 스테이킹/MEV 인센티브 구조, 규제·회계 처리.

데이터/사례

1) TVS 정의와 적용

TVS는 “해당 체인의 보안에 문제가 생기면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자산 총액”을 뜻합니다. 이에는 스테이킹된 ETH, L2로의 브리지 자산, 체인상 발행 스테이블코인과 RWA, 디파이 포지션이 포함됩니다. 여러 온체인 분석·데이터 서비스가 TVS를 별도 지표로 추적하고 있으며, 일부는 ETH의 ‘밸류에이션 하한’을 TVS 대비로 해석합니다.

2) 공정가치 프레임(예시 테이블)

지표 보수적 가정 해설
ETH 시총 : TVS 비율 약 1 : 1 TVS가 장기 ‘바닥’으로 작동한다는 해석. 사이클에 따라 ±편차.
평가 감도(시나리오) 0.8~1.2배 수익/수수료, L2 정산량, 스테이블코인/금융활동 증가에 따라 가중.

참고로 일부 리서치·기업 코멘트는 보다 보수적(예: 1:2) 또는 공격적(1:0.8) 가정도 사용하나, 기본선은 1:1에 수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3) 성장 모듈: 스테이블코인·RWA·L2

  • 스테이블코인: 2028년까지 약 1.2조 달러 성장 베이스 케이스. 정책/규제 추세에 따라 2조 달러 시나리오도 거론되나 보수적 시각에선 ‘낙관적’으로 평가.
  • RWA: 2030년 수조~30조 달러까지 다양한 전망. 금융기관 주도 참여로 확산 속도 가속 가능.
  • Layer2: 거래·수익모델(시퀀서 수익/MEV 공유) 정교화로 L1로의 경제 귀속 강화.

4) 체크리스트(투자 실행 전)

  • ETH가 보호하는 총자산(TVS)의 추세(증가율/구성) 확인
  • 스테이블코인 발행·결제 활용도, 규제 진행상황
  • L2 사용자·수수료·정산량, 토큰 인센티브의 지속가능성
  • 경쟁 체인(솔라나·아발란체 등) 점유율 변화
  • 스테이킹 보상/MEV 분배 구조의 장기 지속성

자주 묻는 질문(FAQ)

TVL과 TVS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TVL은 디파이 예치금 규모이고, TVS는 L2·스테이블코인·RWA 등을 포함한 체인 전체의 ‘보호 자산’ 총량입니다. 즉 TVS가 더 포괄적입니다.

ETH 공정가치에서 1:1을 기본선으로 보는 이유는?

네트워크가 보호하는 실사용 자산(TVS)이 장기적으로 토큰 가치의 하한을 형성한다는 가정입니다. 사이클·수익성에 따라 ±편차가 발생합니다.

스테이블코인·RWA 전망 수치는 신뢰할 만한가요?

기관·리서치마다 편차가 큽니다. 베이스 케이스(스테이블코인 ~1.2조 달러, RWA 수조~수십조 달러)를 중심으로 범위로 이해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지금 ETH는 고평가인가요, 저평가인가요?

단기 가격은 사이클·유동성·리스크 선호에 좌우됩니다. TVS 대비 프리미엄/디스카운트를 확인하고, 장기 성장 모듈(스테이블코인·RWA·L2) 진행 속도를 함께 보세요.

결론 & 다음 행동

  • ETH 공정가치는 네트워크가 보호하는 자산(TVS)에 기반해 범위로 추정하는 접근이 합리적입니다.
  • 스테이블코인 채택, RWA 온체인화, L2 활동 증가는 TVS와 장기 바닥 가치를 끌어올릴 잠재력.
  • 리스크 관리를 위해 경쟁 체인 점유율, L2 경제성, 규제 진행을 체크리스트로 상시 점검하세요.

※ 본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니며, 정보 제공 목적입니다. 투자 판단과 책임은 독자 본인에게 있습니다.